서브 컨텐츠
미원렉처는 경희대학교 설립자 故 조영식 박사의 호 ‘미원(美源)’을 따서 이름 지은 특별 강연이다. 경희대는 ‘문화세계의 창조’를 창학 정신으로, ‘학문과 평화’의 전통을 면면히 이어오고 있다. 미원렉처/석학초청특강은 세계적인 국내외 석학과 거장, 실천인을 연사로 초빙해 우리 사회와 인류문명의 새로운 안목, 평화로운 미래를 여는 데 기여하기 위해 출범했다.
출범이래 ‘인류사회의문제와 고등교육의 역할’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석학과 국제사회 지도자 등이 참여해 보다 나은 인류의 미래와 인간의 삶을 구현하기 위한 인식과 실천의 해법을 구하기 위해 강연하고 토론했다.
제1회 미원렉처는 2010년 2월에 Paul Kennedy 예일대학교 역사학과 교수가 “교육과 인류의 미래”를 주제로 개최됐다. 이어 고이치로 마쓰우라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인류와 문명”(2010년 9월), 프레드 블록 UC DAVIS 사회학과 교수가 “지구적 근대, 그 위기의 기원”(2011년 9월)에 대해 강연했다. 2012년 8월에는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UNESCO에서 본 21세기 평화의 토대”에 대해서, 2012년 12월에는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는 코넬대학교 국제학과 피터 카첸슈타인 교수가 “세계 정치속 문명: 동서양을 넘어”를 주제로 강연했다.
석학특강에서는 이정식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가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를 주제로 2011년 11월에 4회에 걸쳐 강연했고, 슬라보예 지젝이 2012년 6월에 “정치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주제로 특별강연했다.
미원렉처 개최 현황
1회 “교육과 인류의 미래” <강연 보기>
Paul Kennedy 예일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2010년 2월
2회 “인류와 문명” <강연 보기>
고이치로 마쓰우라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 2010년 9월
3회 “지구적 근대, 그 위기의 기원” <강연 보기>
프레드 블록 UC DAVIS 사회학과 교수, 2011년 9월
4회 “UNESCO에서 본 21세기 평화의 토대” <강연 보기>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 2012년 8월
5회 “세계 정치속 문명: 동서양을 넘어” <강연 보기>
피터 카첸슈타인 코넬대학교 국제학과 교수, 2012년 12월
6회 “새로운 한중일 시대와 대한민국의 꿈” <강연 보기>
홍석현 중앙일보·JTBC 회장, 2015년 5월 7회 “하벨의 정치철학과 한국의 시민사회” <강연 보기>
박영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2016년 5월
7회 “하벨의 정치철학과 한국의 시민사회” <강연 보기>
박영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2016년 5월
8회 “생명, 인공지능, 인류의 미래 (Life, AI, & the Future of Humanity)” <강연 보기>
Max Tegmark (MIT 교수), 2018년 9월
Paul Kennedy 예일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2010년 2월
2회 “인류와 문명” <강연 보기>
고이치로 마쓰우라 전 유네스코 사무총장, 2010년 9월
3회 “지구적 근대, 그 위기의 기원” <강연 보기>
프레드 블록 UC DAVIS 사회학과 교수, 2011년 9월
4회 “UNESCO에서 본 21세기 평화의 토대” <강연 보기>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 2012년 8월
5회 “세계 정치속 문명: 동서양을 넘어” <강연 보기>
피터 카첸슈타인 코넬대학교 국제학과 교수, 2012년 12월
6회 “새로운 한중일 시대와 대한민국의 꿈” <강연 보기>
홍석현 중앙일보·JTBC 회장, 2015년 5월 7회 “하벨의 정치철학과 한국의 시민사회” <강연 보기>
박영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2016년 5월
7회 “하벨의 정치철학과 한국의 시민사회” <강연 보기>
박영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2016년 5월
8회 “생명, 인공지능, 인류의 미래 (Life, AI, & the Future of Humanity)” <강연 보기>
Max Tegmark (MIT 교수), 2018년 9월
석학특강 개최 현황
1.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①
“스탈린의 한국전쟁 1945 : 한국현대사의 탐색”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9일
2.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②
“중국의 내전은 한국분단에 종지부를 찍었다.”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16일
3.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③
“6·25전쟁 :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들”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23일
4.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④
“6·25의 전화위복 : 대한민국의 발전”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29일
5.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④
[라운드테이블] 6·25전쟁이 현대 한국사회에 미친 명(明)과 암(暗)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29일
6. “정치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강연 보기>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 2012년 6월 27일
7. “21세기에 다시 보는 독립사상”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4년 4월 29일
8. “귀뚜라미의 소통(疏通)과 지식의 통섭(統攝)” <강연 보기>
최재천(Jae-Chun Choe) 국립생태원장 겸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2014년 7월 21일
9. “평화와 문화 – 냉전 시기에 평화와 문화가 어떻게 동의어가 되었는가?”
권헌익 케임브리지대학 석좌교수 2017년 12월 12일
10. “The ’What’ and the ‘Thus’: East Asia and the Crisis of Ontology
스캇 래쉬(Scott Lash) 2019년 런던대학 사회문화학 교수 2019년 4월 23일
11. “국제사회 환경의 변화와 보건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도형 달라스 텍사스주립대학 공공정책학 교수 2019년 6월 12일
12. “The U.S., the UN, and New Nationalisms: Old Truths, New Developments”
로저 코트(Roger A. Coate) 오하이오 주립대학 정치학 박사 2019년 11월 11일
“스탈린의 한국전쟁 1945 : 한국현대사의 탐색”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9일
2.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②
“중국의 내전은 한국분단에 종지부를 찍었다.”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16일
3.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③
“6·25전쟁 :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들”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23일
4.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④
“6·25의 전화위복 : 대한민국의 발전”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29일
5.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解放後史)> ④
[라운드테이블] 6·25전쟁이 현대 한국사회에 미친 명(明)과 암(暗)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1년 11월 29일
6. “정치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강연 보기>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 2012년 6월 27일
7. “21세기에 다시 보는 독립사상” <강연 보기>
이정식(Chongsik Lee)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정치학과 명예교수, 2014년 4월 29일
8. “귀뚜라미의 소통(疏通)과 지식의 통섭(統攝)” <강연 보기>
최재천(Jae-Chun Choe) 국립생태원장 겸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2014년 7월 21일
9. “평화와 문화 – 냉전 시기에 평화와 문화가 어떻게 동의어가 되었는가?”
권헌익 케임브리지대학 석좌교수 2017년 12월 12일
10. “The ’What’ and the ‘Thus’: East Asia and the Crisis of Ontology
스캇 래쉬(Scott Lash) 2019년 런던대학 사회문화학 교수 2019년 4월 23일
11. “국제사회 환경의 변화와 보건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도형 달라스 텍사스주립대학 공공정책학 교수 2019년 6월 12일
12. “The U.S., the UN, and New Nationalisms: Old Truths, New Developments”
로저 코트(Roger A. Coate) 오하이오 주립대학 정치학 박사 2019년 11월 11일